애니메이션은 동작이나 모양이 조금씩 다른 그림을 한 장면씩 찍어, 빠르게 영사했을 때 화상이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인데, 과학관의 전시실에 가면 대형 철제로 만들어진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런 것은 쉽게 제작할 수 없는데 여기서는 페트병으로 간단히 만들 수 있는 애니메이션을 소개한다.
목 적 : 연속되는 동작을 구분동작으로 여러 장의 그림에 나타낸 것을 회전시켜생기는 애니메이션으로 잔상을 이용한 만화 영화의 원리를 이해한다.
준비물 : 페트병 1개, 포맥스(페트병 단면 크기 2개), 검정색 마닐라지 1장, φ3mm, 25cm 철사, +자 나사못 1개, 그림 2종류, 칼.
그림1. 애니메이션의 구죠
[그림1] 애니메이션의 구조
② 아래 원판에 그림의 8과 같이 나사못 머리가 아래로 향하게 고정한 후, 2장의 원판을 페트병에 꼭 끼게 밀어 넣는다.
③ 페트병 뚜껑의 중심에 φ3mm의 구멍을 뚫고, 끝을 뾰족하게 간 25cm 철사를 나무판에 고정하고, 뾰족한 끝이 나사못에 닿게 페트병을 설치한다.
④ 마닐라지를 페트병의 원주길이 만큼 자르고, 그 안에 길이 3cm, 폭 2mm정도의 구멍을 등 간격으로 8개 판 후, 페트병 외벽에 붙인다.
⑤ 페트병의 안쪽 바닥 3 에는 아래[그림2]의 원형그림을 넣고, 안쪽 벽면 2 에는 [그림3]의 띠형 그림을 넣는다.
그림2. 바닥용 그림
그림 3. 벽면용 그림
보는 방법
① 오른손가락을 페트병 마개에 대고 당기면서 회전을 시킨다.
② [그림1]의 A 방향으로 보면 바닥의 [그림2]의 애니메이션이 보이고, [그림1]의 B 방향으로 보면 벽면의 [그림3]의 애니메이션이 보인다. 구멍을 통하지 않고 위에서 보면 어떻게 보이나?
③ 여러 개를 만들어 각각 다른 세트의 그림을 넣어 돌려보자.
④ 크게 만들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결 과 : 원통 안쪽에 불연속적인 그림들을 배열하여 놓고 그것을 돌리면서 원통 옆면의 틈새로 관찰하면 연속적인 그림을 볼 수 있다. 틈새로 관찰할 때는 일부분만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림이 움직이는 장면을 볼 수 있지만, 원통 위에서 볼 경우에는 전체를 한꺼번에 보기 때문에 그림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없다.
원 리
우리 눈에는 잔상이 있어서 연속적인 그림을 빠르게 비추면 마치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듯 하게 보인다. 이런 것을 응용한 것이 영화인데 초당 30프레임 정도이면 아주 부드럽게 움직인다.① 잔상(殘像)이란 빛의 자극이 없어진 후에도 시각 기관에 어떤 흥분 상태가 계속되어 시각 작용이 잠시 없어지지 않고 남는 현상을 말하며, 잔상에는 양성 잔상과 음성 잔상이 있다. 상이 남는 시간은 자극을 준 밝기와 색깔, 시간, 눈의 생리 상태 등에 따라 다르다. 양성 잔상이란 자극 광과 같은 감각이 남는 것으로, 비교적 강한 자극을 짧은 시간동안 받았을 때 생긴다. 반면 자극 받은 빛의 색깔의 보색이 나타나는 것을 음성 잔상이라 하며, 보통 세기의 자극을 장시간동안 받았을 때 생긴다. 구체적인 예로, 영화나 텔레비전의 영상은 양성 잔상을 이용한 것이고, 음성 잔상은 각기 다른 색을 나란히 놓았을 때 그 각각의 색은 그것이 단독으로 있을 때보다 옆에 있는 색의 보색에 접근되어 있는 듯이 보이는 현상이다. 음성 잔상의 이러한 현상은 색상 대비라고 하며, 배색 효과를 살리는 데 아주 중요하다.
② 물체를 바라보면 뇌에 그 물체의 모습이 그대로 그려지는데, 물체가 사라지거나 눈을 감아 볼 수 없게 되어도 잠시 동안 뇌에 그 물체의 모습이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잔상이라고 하는데,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영화나 텔레비전도 이러한 잔상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한 장면을 보여주고 그 모습이 뇌에서 사라지기 전에 이어진 장면을 보여주면 잔상의 효과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영화는 1초 동안에 24개의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고, 텔레비전은 1초 동안 30개의 화면을 연속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유의점 : 칼로 종이를 자를 때 손을 베이지 않게 주의한다.
다른 종류
① 아래 그림을 적당한 크기로 확대 복사하여 0.5T 알루미늄 판에 붙이고 스카시(실)톱으로 원형으로 자른다.
② 말과 말 사이 모두에 폭 2mm정도의 슬릿을 파고, 막대기에 원판의 중심을 압정으로 고정한다.
③ 거울 앞에 서서 말 그림 쪽이 거울로 향하게 잡고 원판을 돌리면서 슬릿을 통해 거울을 보면 달리는 말을 볼 수 있다.
'파동빛시연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색착시 (0) | 2012.11.13 |
---|---|
착시-재미있는 눈의 착각 (0) | 2012.11.12 |
비커 속의 보이지 않는 시험관 (0) | 2012.11.12 |
불투명 컵에서의 굴절 (0) | 2012.11.12 |
둥근 컵에서의 굴절 (0) | 201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