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동빛시연자료

착시-재미있는 눈의 착각

정덕 2012. 11. 12. 17:01

 

 

 

사람의 눈으로 느낄 때 실제의 대상과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바로 착시다.  기하학적 착시는 크기, 방향, 각도, 곡선 등의 평면 도형의 기하학적 형태가 자로 측정된 객관적인 형태와 틀리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착시도형은 보통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부르는데 그들의 대부분은 심리학분야에서 막대한 공헌을 한 사람들이다.

목  적 : 일상 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지나쳐버리는 착시 현상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감각의 부정확성을 깨달을 수 있고, 과학에서 관찰의 중요성을 알고, 보고 생각하는 습관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관찰자가 되도록 한다.

 

준비물 : 여러 가지 착시카드.

 

뮐러-라이어 착시

①  내용 : 두개의 선분 중 누가 더 길게 보이나? 동일한 두 개의 선분이 화살표 머리의 방향 때문에 길이가 달라져 보인다.

②  원리 : 여기에 대한설명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원근에 의한 것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푀켄도르프 착시

①  내용 : 왼쪽 아래의 사선을 연장하면 오른쪽 위의 사선과 만나게 될까?  실제로는 일직선상에 놓인 두 사선이 인접한 선들 때문에 서로 만나지 않고 점선과 만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②  원리 : 우리는 예각은 실제의 크기보다 크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위쪽의 선이 만드는 예각은 실제보다 커 보여 아래쪽의 선과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에서처럼 예각의 과대평가 요인을 없애면 정확한 지각이 가능하다.

 

에빙하우스도형

①  내용 : 가운데 있는 원은 어느 것이 더 커 보이나?  같은 크기의 원이지만 주위에 작은 원들로 둘러싸인 경우가 큰 원들로 둘러싸인 경우에 비해 커 보인다.

②  원리 : 주위에 큰 것이 있으면 심리적 압박감 때문에 수축감이 들어 작게 보이고, 주위에 작은 것이 있으면 팽창감이 들어 상대적으로 크게 보인다.

곡선 착시

①  내용 : 두개의 평행선에 방사선 형태의 선들이 교차하면 평행선은 곡선으로 굽어보인다. 안쪽이 볼록하게 보이는 경우(左)와 안쪽이 오목하게 보이는 경우(右).

 

죌너도형

①  내용 : 주선은 객관적으로는 평행선이지만 주관적으로는 평행선으로 보이지 않고 교차되고 있는 사선들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있는 것으로 보인다.

 

폰쪼 착시

①  내용 : 같은 길이의 두 선분이 있을 때 상대적으로 멀리 있어 보이는 선분의 길이가 더 길어 보인다. 오른쪽 아래의 작은 사람과 홀 중앙의 작은 사람은 동일한 망막상의 크기를 갖지만 전자가 작게 보인다. 

②  원리 : 깊이지각의 단서들이 사용되어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크기를 보상하려는 지각항상성 원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같은 그림, 다른 해석 -- 처녀와 노파

①  내용 : 애매한 도형은 하나의 물체에서 두가지 이상의 지각을 일으키게 한다. 이 그림은 매력적인 젊은 여자로 보이기도 하고 무서운 노파로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동일한 그림이 다른 형태로 보이는 경우를 '형태의 반전(反轉)'이라 한다.

②  원리 : 뇌는 애매한 도형에서 나타난 물체가 무엇인가에 대해 두 가지 가설을 교대로 검증하며 한가지 결론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처럼 반전은 뇌의 중추신경에 의한 것이지 정보 자체의 변화는 아니다. 우리의 지각이 망막에 새겨진 이미지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추론한다는 의미다.

 

운동착시

①  내용 : 카드를 들고 조그만 원을 그리면서 회전을 시키면 바깥에 있는 6개의 원(기어)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자.

②  기어가 같이 돌아가는듯이 보인다.

 

손바닥에 웬 구멍?

①  내용 : 종이관을 오른손에 잡고 그림과 같이 오른쪽 눈에 대고 본다. 왼손은 손바닥이 얼굴 쪽으로 향하도록 펴고 종이관 옆에 가져가 보자?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②  손바닥에 구멍이 난 것처럼 보인다.


'파동빛시연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의 산란  (0) 2012.11.13
보색착시  (0) 2012.11.13
페트병으로 만드는 애니메이션  (0) 2012.11.12
비커 속의 보이지 않는 시험관  (0) 2012.11.12
불투명 컵에서의 굴절  (0) 2012.11.12